티스토리 뷰
목차
✅ [2025년 국민연금 삭감 폐지] 일하는 부모님도 연금 100% 받는 법!
2025년 7월부터는 ‘일하면서도 국민연금을 감액 없이 전액 받을 수 있는’ 제도가 시행됩니다. 기존에는 일정 소득이 발생하면 국민연금 일부가 감액되었지만, 이제는 근로소득이 있어도 연금 100% 수령이 가능해집니다.
근로 능력이 있는 고령자가 은퇴 후 다시 취업하거나, 퇴직 후 파트타임 근무를 하는 경우에도 감액 없이 국민연금 전액 수령이 가능해져 소득 보전에 큰 도움이 됩니다.
✅ 신청 방법
국민연금 삭감 폐지 제도는 자동 적용되지 않습니다. 반드시 국민연금공단에 ‘재산정 신청’을 하고, 근로소득이 발생한 사실을 신고해야 합니다.
신청은 2025년 7월부터 가능합니다. 본인 직접 신청 외에도 자녀가 대리신청도 가능하며, 이 경우 신분증과 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합니다.
신고 방법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지사 방문을 통해 가능하며, 근로계약서나 소득 관련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.
✅ 대상 조건
이번 제도 개편은 국민연금 수급자 중 소득이 발생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합니다. 특히 61세부터 66세 사이 연금을 받는 분 중 소득이 있는 경우 기존에는 감액되었으나, 2025년 7월 이후부터는 근로소득과 무관하게 100% 연금 수령이 가능합니다.
단, 국민연금 자체 수급 요건(가입기간 최소 10년, 만 62세 이상 등)은 기존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구분 | 기존 제도 | 2025년 7월 이후 |
---|---|---|
적용 대상 | 국민연금 수급자 (소득 발생 시) | 동일 |
소득 기준 | 연 5,884만 원 초과 시 감액 | 감액 없음 |
수령 방식 | 감액 후 월 지급 | 100% 전액 수령 |
신청 방식 | 근로소득 발생 후 일부 자동 반영 | 재산정 신청 + 근로소득 신고 필수 |
✅ Q&A
Q1. 연금 삭감 폐지 제도는 자동 적용되나요?
아니요. 2025년 7월부터 시행되며, 재산정 신청을 해야 적용됩니다. 소득 신고도 반드시 함께 하셔야 합니다.
Q2. 모든 연령대 수급자에게 적용되나요?
아니요. 기존 감액 기준은 만 61세~66세 사이 수급자에게만 적용되었으므로, 이 연령대의 근로자 수급자만 해당됩니다.
Q3.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도 해당되나요?
현재까지는 근로소득 중심으로 적용되며, 프리랜서나 사업자 소득은 별도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. 국민연금공단에 확인 필요합니다.